운제산 오어사(吾魚寺)는 신라 26대 진평왕(579~632) 때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이자, 신라 4대 조사를 배출한 성지로 불리는 곳입니다. 당초에는 **'항사사(恒沙寺)'**라 불렸으나, 현재의 이름에는 이 사찰의 상징적인 전설이 깃들어 있습니다.
'오어사(吾魚寺)'라는 이름의 유래
오어사라는 독특한 이름은 신라 시대를 대표하는 두 고승, 원효대사와 혜공선사의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
전설: 두 선사가 이곳에서 수도할 때, 법력(法力)으로 개천의 고기를 생환토록 하는 시합을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고기 한 마리만 살아서 힘차게 헤엄을 쳤는데, 두 고승이 서로 자기가 살린 고기라고 주장하며 다투었습니다. 이에 나 오(吾), 고기 어(魚) 자를 써서 **'오어사(吾魚寺)'**라 이름 짓게 되었습니다.
사찰의 주요 건축물과 유물
오어사는 오랜 역사 속에서 중건과 보수를 거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대웅전 (경북 문화재 제88호): 사찰의 중심 건물인 대웅전은 **조선 영조 17년(1741년)**에 중건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다포(多包) 집으로, 경상북도 문화재 제88호로 지정되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경내 시설: 대웅전을 제외한 나한전, 설선당, 산령각 등은 모두 최근에 건립된 건물들입니다.
대표 유물: 오어사가 소장한 유물 중에는 국가보물 제1280호인 범종과 원효대사가 사용했다고 전해지는 삿갓 등이 있어 사찰의 깊은 역사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운제산 자락에 자리한 오어사는 주변의 고즈넉하고 아름다운 풍경과 천년의 이야기가 어우러져 많은 방문객에게 평안함을 선사하는 곳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