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암사는 옥천군 장용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로 신라 때인 552년(진흥왕 13)에 의신이 세운 사찰이다. 용암사에 있는 동서 삼층석탑은 일반적 가람배치와 달리 사방이 한눈에 보이는 북쪽 낮은 봉우리에 자리 잡고 있는데, 탑이나 건물을 세워 산천의 쇠퇴한 기운을 북돋아 준다는 고려 시대의 산천 비보 사상에 따라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용암사에는 보물인 옥천 용암사 쌍삼층석탑과 용암사 마애불상이, 용암사 대성전에는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이 남아있다. 쌍삼층석탑은 같은 모양의 석탑 2기가 자연 암반 위에 나란히 세워진 쌍탑으로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이 거의 체감 없이 비슷한 비율로 높게 서 있는 특이한 형태이다. 이 석탑은 각 부분의 양식과 석재의 결구 수법에서 간략화된 조성 수법으로 보아 고려 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효종 2년(1651)에 조성된 것으로 밝혀진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이 봉안되어 있는 주불전을 비롯한 당우 모두가 옛 모습은 아니나 이곳에 전해지는 동서 삼층석탑과 마애불은 천여 년 변함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당우는 자연과 어우러지는 산사의 전통건축미를 맛볼 수 있는 아름다운 절집이다. 동서 삼층석탑 왼편에는 등산로가 있는데, 이 길은 장령산 정상까지 이어진다.
용암사는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장령산에 있는 사찰로, 법주사의 말사(末寺)이다. 용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서 용암사라고 이름지었으나 용바위는 파괴되어 현재는 그 흔적만이 남아 있다. 대웅전 안에는 불상과 5종의 탱화(幀畵)가 보관되어 있다. 현재 이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목조불상은 이전의 연혁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1880년 불상을 열어 보았을 때 속에서 ‘순치 8년 신묘년(효종 2년, 1651)’에 만들어진 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 이로 인해 이 불상이 조선 효종 2년(1651)에 만들어진 것임이 밝혀졌으며, 다라니경에 인쇄된 내용으로 보아 경상도 문경의 오정사에서 만들어 이곳으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 소개:
용암사는 신라 진흥왕 13년(552년)에 의신조사가 창건한 사찰로 전해집니다. 현재의 대웅전보다 더 높은 곳에 동·서 삼층석탑이 나란히 자리하고 있으며, 용암사 뒤편 산기슭에는 옥천군에서 정비한 **운무대 전망대(1~3전망대)**가 있어 누구나 쉽게 운해와 일출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주요 문화재 및 관람 포인트:
보물 옥천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대웅전 좌측 언덕, 자연 암반 위에 나란히 서 있는 고려시대 석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마애여래입상: 대웅전 오른쪽으로 가는 길목 거대한 바위에 새겨져 있으며, 바위 아래 석간수가 흐릅니다.
운무대: 용암사 뒤편 산기슭에 마련된 일출·운해 조망 명소. (오르는 길이 데크와 나무다리로 정비되어 있습니다.)
이용 안내:
주소: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삼청2길 400
문의 및 안내: 043-732-1400
관람 시간: 사찰이므로 24시간 개방하고 있습니다. (문화재 관람 및 기도 시간은 사찰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입장료: 사찰이므로 무료인 경우가 많으나, 혹시라도 문화재 관람료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방문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주차: 주차 시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용암사 바로 앞까지 차량 진입이 가능합니다.)
■ 아이들이 놀기 좋은지:
보통. 사찰 특성상 활발하게 뛰어놀기보다는 경건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느껴야 하는 곳입니다. 하지만 운무대까지의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 있고, 역사적 건축물(쌍삼층석탑)과 마애불을 보며 문화적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장령산 등산로와 연결되어 있어 자연 체험에도 좋습니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한지:
사찰 특성상 반려동물 동반이 제한되거나 사찰 내부 진입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명시된 공식 정보는 없으나, 사찰 방문 시에는 에티켓상 동반을 지양하거나 사전에 문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각종 편의 시설:
식음료: 사찰 내에 공양간 외에 일반적인 상업 시설은 없습니다.
연계 관광: 용암사 코스를 따라 장령산자연휴양림과 연결되어 있어, 트레킹과 휴양을 함께 즐기기에 좋습니다.
템플스테이: 옥천 용암사에서 진행되는 템플스테이 정보는 별도로 확인되지 않습니다. (유사 지명인 '고성 옥천사'의 템플스테이 정보는 검색되나, 옥천 용암사는 별도로 문의가 필요합니다.)